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용어정리
한글생각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한글 글자체 소개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활자생각
활자연구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⑥
이용제 2023.06.11
5. 결론 필서체에서 인서체로 분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① 필서체 획을 단순화하면서 나타난 방필 ② 수직 수평의 가로 세로 획 ③ 과장된 획 대비 ④ 장식화된 머리와 맺음 표현 ⑤ 부곽자 공간이 합쳐지면서 전형적인 인서체가 만들어진 것이다. 곧, 인서체는 붓으로 쓴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⑤
이용제 2023.06.11
4. 조선 시대에 제작된 인서체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필서체는 조선 태종 때 주조된 한자 활자인 [계미자](癸未字)(1403), 세종 때 주조된 [갑인자](1434), 숙종 때 주조된 [한구자](韓構字)(1677) 등이 있다. 이 활자는 당대의 모범이 되었던 해서체를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④
이용제 2023.06.11
3.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 목판 인쇄가 성행한 송나라 시대의 판본에는 안진경체・구양순체・유공권체・수금체 등 이전 시대에 사람들이 선호했던 해서체와함께, 필기체・고체(古體)・간체(簡體)・방체(方體)・장체(長體)・편체(扁體)・원활체(圓活體)・세수(細瘦體)체 등 여러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③
이용제 2023.06.08
2. 필서체의 구조, 그리고 공간과 표현 초기 목판 인쇄는 나무나 금속 등에 글자를 쓰고 새긴 뒤, 종이나 천에 찍은 것이다. 따라서 인쇄체는 글씨를 새기고 찍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 외에 필기체와 다를 이유(필요)가 없었다.3 특히 상당히 많은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②
이용제 2023.06.08
1. 서론 인쇄술은 필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발명된 기술로, 동양은 7세기 당나라 시대에 목판 인쇄가 발달했으며, 송나라 시대부터 목판 인쇄가 활발해졌다.1 그리고 목판 인쇄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글씨체가 사용되었다. 그중에는 글씨를 그대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①
이용제 2023.06.08
초록 인쇄는 필사를 대체하면서 문명을 급진전시켰다. 그렇게 발전한 인쇄체는 크게 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글씨를 그대로 재현한 필서체와 글씨 특징을 변형 또는 강조한 인서체이다. 필서체와 인서체는 글자체의 조형 양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지만, 이 둘 사이에는 공
뼈대를 일정한 비율로 가져왔지만, 글자들이 왔다 갔다 하는데, 그냥 놔두나요?
이용제 2023.05.26
일정한 비율로 글자를 가져왔다고 해서 끝난 것은 아닙니다. 이제 기준을 세우고 기준에 맞춰서 글자 크기와 위치를 조정해야 합니다. 뼈대를 그대로 가져왔을 때, 어수선해지는 이유를 먼저 말씀드립니다. 우선 뼈대를 따내는 동안 글자의 속공간이 미세
(글자) 뼈대 크기가 제각각인데 비슷한 크기로 맞추나요?
이용제 2023.05.26
옛 글자체에서 뼈대를 따면,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받침이 없는 민글자와 받침이 있는 받친글자의 (뼈대) 크기가 상당히 다릅니다. 특히 세로로 쓴 서간체는 적게는 두 배에서, 많게는 세 배 이상 차이 날 때도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글자틀 안에 뼈대를 붙여 넣으면 글자의 위아래 남
옛 한글은 모두 세로로 썼는데, 세로쓰기용으로 만들어야 하나요?
이용제 2023.05.26
옛 한글 글자체 자료를 찾다 보면, 대부분 세로로 쓰여 있습니다. 가로로 쓰여 있어도 세로쓰기에 맞춰진 활자일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옛 한글 글자체를 바탕으로 활자를 개발할 때 세로쓰기용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되는데,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세로쓰기용이었던 글자체를 가
시대정신을 읽고 새기는 디자이너를 보고 배웠다
이용제 2023.05.13
2017년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글짜씨 9권 1호는 안상수 선생님을 특집(?)으로 다뤘다. 나 또한 글을 요청받았고 선생님께 배운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글을 썼다. 배움이 중요하다고 누구나 말한다. 이 말에 적극적으로 동의하며, 나는 대학 시절의 배움 중에서 안상수
지자체 폰트 개발의 문제점
이용제 2023.05.10
2015년 여름, 서울서체 개발을 시작으로 발생한 지자체 폰트 개발의 문제점에 대해서 발표하려고 했던 글입니다. 당시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한글위원회 이름으로 발표하려고 몇몇 선생님의 의견을 모아서 정리했던 글인데, 실제 발표했는지 기억나지 않습니다. (다시 찾아봐도 발표한 기록을 찾지
서울시 서체에 대한 기대와 걱정
이용제 2023.05.09
10년 전쯤 유럽을 여행하면서 디자이너로서 가장 부러웠던 것은 조형적 완성도가 높은 글꼴을 갖고 만든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이었고, 서울도 서울을 대표할 만한 글꼴과 그 글꼴을 체계적으로 운용할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갖춘다면 지금의 모습과 많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