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개념정리
용어정리
한글생각
한글 글자체 소개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모범, 깨는 것일까요, 따르는 것일까요?
이용제 2023.01.31
모범은 “본받아 배울 만한 대상”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모범을 이야기하다보면, ‘무겁다’ ‘어렵다’ 또는 ‘정답이 있는냐’ 등의 말이 나옵니다. 아마도 모범은 본받아 배울 만한 것이니, 가볍지 않아 보이고, 본받아 배울 만한 대상을 따르기 쉽지 않아서 어렵다고 느낄 수 있겠죠. 또한,
표준과 기준 그리고 모범
이용제 2023.01.29
한글 폰트는 KS코드라는 국가(대한민국)가 정한 ‘표준’ 코드에 따라 제작합니다. ‘표준 코드’는 한글 폰트를 만들 때, 각 글자를 정해진 자리에 그려 넣으라는 약속입니다. 상당히 강력해 보입니다. 우리만 ‘표준 코드’가 있는 것은 아니고, 전 세계의 각 나라는 고유한 문자 코드를 가지
졸업전시 ③ : 1998년, 나의 ‘판독성 실험에 대한 생각’
이용제 2023.01.01
아랫글은 25년 전인 1998년 졸업전시 때, 나의 글자체 견본집 앞에 실었던 글입니다. 고치지 않고 그대로 옮긴 글이라서 좀 어색하지만, 고치지 않고 싶어서 그대로 놔뒀습니다. —판독성 실험에 대한 생각— 92년도 가을 학기에 타이포그라피 수업을
졸업전시 ② : 1998년, 나의 ‘생각’
이용제 2023.01.01
아랫글은 25년 전인 1998년 졸업전시 때, 나의 글자체 견본집 앞에 실었던 글입니다. 꽤 오래전 썼던 글인데 예나 지금이나 참 비슷합니다. 고치지 않고 그대로 옮긴 글이라서 좀 어색하지만, 고치지 않고 싶어서 그대로 놔뒀습니다. —생각— 한글을
크기마다 다른? [최지혁체]
이용제 2022.12.27
첫 한글 새활자인 [최지혁체]는 1호(추정), 2호, 5호 세 가지 크기의 활자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2호 활자와 5호 활자는 1880년 또는 그 이전에 주조된 활자이며, 1호는 불확실하지만 1890년 이후에 주조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 세 크기의 활자에는 각각 공통된 부분과
첫 한글 새활자 [최지혁체]
이용제 2022.12.27
활자는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줄곧, 당대의 문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한글 활자 역사에서도 예외가 없습니다. 전통적인 주조방식으로 만드는 옛활자에서 서양의 주조법을 개선한 전태법으로 만드는 새활자로 바뀌는 역사적인 순간도 그랬습니다. 새활자는 전태법으로 만들었다고 해서 전태활자라고
졸업전시 ① : 길을 잃고 헤매다 분명해진 나의 길
이용제 2022.12.24
11월, 12월에는 대부분의 미술대학이 졸업전시를 하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저도 대학에서 디자인을 가르치다 보니, 매해 졸업전시를 지도합니다. 많은 학생이 분주하게 여기저기 다니며, 밤을 새워 전시 작업을 합니다. 잠도 못 자고 초췌하게 수업에 들어오면 참 안쓰럽습니다. 그러는 학생들에
교과서용 글자체 [초등소학체]
이용제 2022.12.22
조선왕조는 18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정치와 사회가 불안정했습니다. 1897년 나라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여러 정치 사회 제도의 개혁을 시도했으나, 일본 등에 의해서 방해받았습니다. 특히 나라가 위태로워지면서,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는 교육을 시도했지만, 그 성과를 거두기 전에
교과서용 활자 [독본체]
이용제 2022.12.20
한글이 창제된 뒤에도 한자가 나라의 공식 문자였습니다. 한글은 ‘언문’으로 불리며 백성(남녀노소)이 쓰는 비공식 문자였습니다. 그리고 450년 정도 지난 1894년, 고종 임금님은 나라를 개혁하려는 의지를 담아, 한글을 나라의 공식 문자라는 뜻에서 ‘국문’으로 공표했습니다. 바로 다음
1997년.. 살.바(bar)에서 전시
이용제 2022.12.18
1997년, 대학교 3학년 가을, 과 대표가 됐습니다. 물론 제 의지는 아니었고, 학교를 안 나갔는데 과 대표가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활동하던 소모임 한글꼴연구회가 처음으로 가을 학기에 학교 밖 전시를 계획했었고, 그 외에도 개인적으로 한글디자인 작업을 하려고, 9학
나라의 자존심을 지키려는 [학부인서체 한글]
이용제 2022.12.15
한글 글자체 변화에서 첫 번째 큰 변곡점이 옛활자에서 새활자로의 전환입니다. 김진평 선생님이 옛활자말기(1801~1863년)에서 새활자시대의 도입교체기(1864~1909년)라고 부른 시기입니다. 사실 이 시기는 나라의 기운이 쇠퇴하여, 나라를 다시 살리기 위해 많은 변화를 시도했던 때라
조선시대 마지막 한글 금속활자, [재주정리자 한글]
이용제 2022.12.13
조선시대에 주조한 많은 금속활자 중에 한글 금속활자도 여럿 있습니다. 그중에서 조선왕조가 만든 마지막 한글 금속활자가 [재주정리자(再鑄整理字) 한글]입니다. [재주정리자]는 정조임금님 때에 만들어진 한자 [정리자] 활자가 철종임금님 때인 1857년 화재로 소실되어, 다음 해인 1858년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