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개념정리
용어정리
한글생각
한글 글자체 소개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간결한 설계도 [훈민정음]체
이용제 2022.07.04
첫 번째 글자체로 무엇을 소개해야 하나 고민했을 때, 너무 당연히 《훈민정음》(책)에 예시된 창제 초기 글자체인 [훈민정음]체를 떠올렸는데, 너무 널리 알려진 글자체라서 망설였습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처음 한글 모습을 말하지 않고서는 그 이후의 변화 맥락을 말씀드리기 어렵다는 생
새로운 연재: 한글 글자체를 소개합니다.
이용제 2022.07.04
한글 활자를 디자인하면서, 힘들었던 원인 중의 하나가 한글 글자체 역사였습니다. 김진평 선생님과 몇몇 선행 연구자가 쓴 한글 글자체에 대한 역사가 있습니다. 대부분 기록에 남아 있는 글자체를 시간순으로 나열하고 생김새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책마다 소개하는 글자체가 상당 부분 다르
거꾸로. 거꾸로
이용제 2022.07.02
글자를 그리기 시작한 지 얼마 안 돼서 그린 글자 중 하나가 [거꾸로]입니다. (폰트 파일을 찾지 못하면 언제 만들었는지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ㅜ.ㅜ) 글자를 그리는 것이 아닌, 거꾸로 배경을 그린다는 생각으로 만든 글자체입니다. 이름은 좀 유치하죠.
언제 끝날까요?
이용제 2022.06.27
이 글을 연재하기 시작한 지 6개월이 되었습니다. 혹시 이 글을 읽으면서 글자를 그렸다면, 지금까지 몇 글자를 그렸나요? 보통 6개월이면 많이 그려야 100자 정도, 진짜 열심히 많은 시간을 썼다면 200자 정도 그렸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렇다면, 현재 시중에서 판매하는 폰트를 기준으
반복이 답입니다.
이용제 2022.06.27
저에게 활자디자인 수업을 1년 정도 들은 사람 중에 몇몇은, 글자 그리는 방법이나 어떤 방식으로 확인하며 글자를 그려야 하는지는 알겠는데, 언제 어떻게 써먹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합니다. 그러면 제가 이야기하죠. 전 30년 그렸다고. 활자디자인을 1~2년 배웠거나, 한두 개의 폰트를
어린 한글디자인
이용제 2022.06.26
지난 글에 이어 이번 주도 대학 때 그렸던 글자 이야기를 이어가 보겠습니다. 1학년 가을학기를 마치고, 한글꼴연구회라는 한글을 그리는 소모임에 들어갔습니다. 중고등학교 때 미술반에도 안 들어갔었는데, 처음으로 스스로 가입한 모임이었습니다. 한글꼴연구회에 가입할 때는
그린 글자를 고칠 때
이용제 2022.06.23
활자디자인을 하다 보면 마치 개미지옥 안에 빠져드는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고치고 고치고 또 고치고… 영원히 안 끝날 것 같은 기분. 분명히 고쳤는데, 나아지지 않는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그 중의 하나가 부자연스럽거나 조화롭지 못한 글자
저만 안 보이나요?
이용제 2022.06.21
글자를 그리고 출력해서 볼 때, 어떤 태도로 무엇을 봐야 하는지 몇 가지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옆에서 짚어 주기 전에는 잘 안 보인다고 말하는 분이 많습니다. 사실 균형이나 비례 등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 듣거나 예시를 봤다고 해서, 바로 글자를 고르고 가지런하게 그릴 수 있지
첫 한글디자인
이용제 2022.06.19
오늘은 저를 설레게 하는, 제가 처음 그린 한글 글자체를 소개하겠습니다. 제가 대학교에 입학해 처음 한글디자인을 접한 건 1992년이었습니다. 그때만 해도 한글디자인을 가르치는 학교가 거의 없었습니다. 저는 1학년 2학기가 되어 타이포그래피 수업을 듣게 되었는데,
글자체 양식은 조형 질서입니다
이용제 2022.06.16
활자디자인 수업을 듣는 분 중 몇몇은 알아야 하는 것이 너무 많아서 다 외우기 어렵다고 합니다. 수많은 글자를 조화롭게 그려야 하다 보니, 균형이나 비례, 무게중심이나 공간배분 등 알아야 하는 것이 많긴 합니다. 하지만 이런 조형 질서를 모두 외워서 디자인하진 않습니다.
글자의 비중
이용제 2022.06.13
물질은 모두 고유한 특성이 있고, 그 특성 중에는 무게도 포함됩니다. 그래서 각 물질의 고유한 무게를 말할 때 비중이라는 말을 쓰는데, 비중은 기준이 되는 물질에 대한 상대적인 비를 말합니다. 어렵죠. 간단히 예를 들면 4℃ 물의 비중이 1일 때, ‘발사’라는 나무의 비중은 0.2입니다
생명노래 (2002)
이용제 2022.06.11
오늘은 시간을 한참 앞으로 돌려서 2002년에 그렸던 탈네모틀 글자체인 [생명노래]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생명노래]는 2002년 잡지 5월호에서 그래픽디자인을 공부하는 여러 나라 학생의 작업을 소개한다고 하여 그렸던 글자체입니다. 당시 잡지에는 10개국의 11개 도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