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한글 글자체 소개
활자생각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용어정리
개념정리
한글생각
활자연구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뼈대를 일정한 비율로 가져왔지만, 글자들이 왔다 갔다 하는데, 그냥 놔두나요?
이용제 2023.05.26
일정한 비율로 글자를 가져왔다고 해서 끝난 것은 아닙니다. 이제 기준을 세우고 기준에 맞춰서 글자 크기와 위치를 조정해야 합니다. 뼈대를 그대로 가져왔을 때, 어수선해지는 이유를 먼저 말씀드립니다. 우선 뼈대를 따내는 동안 글자의 속공간이 미세
(글자) 뼈대 크기가 제각각인데 비슷한 크기로 맞추나요?
이용제 2023.05.26
옛 글자체에서 뼈대를 따면,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받침이 없는 민글자와 받침이 있는 받친글자의 (뼈대) 크기가 상당히 다릅니다. 특히 세로로 쓴 서간체는 적게는 두 배에서, 많게는 세 배 이상 차이 날 때도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글자틀 안에 뼈대를 붙여 넣으면 글자의 위아래 남
옛 한글은 모두 세로로 썼는데, 세로쓰기용으로 만들어야 하나요?
이용제 2023.05.26
옛 한글 글자체 자료를 찾다 보면, 대부분 세로로 쓰여 있습니다. 가로로 쓰여 있어도 세로쓰기에 맞춰진 활자일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옛 한글 글자체를 바탕으로 활자를 개발할 때 세로쓰기용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되는데,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세로쓰기용이었던 글자체를 가
시대정신을 읽고 새기는 디자이너를 보고 배웠다
이용제 2023.05.13
2017년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글짜씨 9권 1호는 안상수 선생님을 특집(?)으로 다뤘다. 나 또한 글을 요청받았고 선생님께 배운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글을 썼다. 배움이 중요하다고 누구나 말한다. 이 말에 적극적으로 동의하며, 나는 대학 시절의 배움 중에서 안상수
지자체 폰트 개발의 문제점
이용제 2023.05.10
2015년 여름, 서울서체 개발을 시작으로 발생한 지자체 폰트 개발의 문제점에 대해서 발표하려고 했던 글입니다. 당시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한글위원회 이름으로 발표하려고 몇몇 선생님의 의견을 모아서 정리했던 글인데, 실제 발표했는지 기억나지 않습니다. (다시 찾아봐도 발표한 기록을 찾지
서울시 서체에 대한 기대와 걱정
이용제 2023.05.09
10년 전쯤 유럽을 여행하면서 디자이너로서 가장 부러웠던 것은 조형적 완성도가 높은 글꼴을 갖고 만든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이었고, 서울도 서울을 대표할 만한 글꼴과 그 글꼴을 체계적으로 운용할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갖춘다면 지금의 모습과 많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④
이용제 2023.04.29
글자꼴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일은 앞으로 새로운 활자를 디자인하거나 현재 있는 활자를 리-디자인할 때, 적합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도록 도울 것이다. 그 한 예로써 앞으로 개발할 본문용 글자꼴은 운필이 남아 있는 글자꼴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다.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③
이용제 2023.04.29
세로쓰기 시대의 글자꼴 중에서 운필의 영향을 받으며 정형화된 글자꼴은 훗날 명조체의 뿌리가 되는데, 이 글자꼴은 글자의 무게중심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글자의 오른쪽이 올라갔다. 그리고 필기의 이동거리가 짧아지면서 긴 직사각형의 장체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과 한글 글자꼴의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②
이용제 2023.04.29
한글 글자꼴은 1446년 발표된 뒤 현재까지 <정제된 형태>에서 <손글씨의 자유로운 형태>로 그리고 다시 <손글씨의 정형화>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가)기하학적인 형태에 도구의 영향 반영된 결과이고, (나)동일동형의 공간 활용에서 글자의 줄기 수에 따라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①
이용제 2023.04.29
차례 1. 시작하며 1.1. 쓴 목적 1.2. 선행연구 1.3. 논의 대상 2. 한글 글자꼴의 특징을 논의하기 위한 틀 3. 문장방향과 글자꼴 3.1. 세로쓰기 시대 글자꼴의 특징
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③
이용제 2023.04.20
한글 문장부호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 맞춰 모양과 용법을 통일해야 하고, 이때 문장부호의 모양, 크기, 위치는 한글 조형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②
이용제 2023.04.20
우리나라는 서양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서양 중심으로 보편화되었다.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한글을 알파벳처럼 풀어쓰자는 주장했고, 한글 문장부호는 풀어쓴 한글에 맞춰서 서양의 문장부호를 가져다 쓰게 되었다. 따라서 한글 문장부호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의 모양을 통일할 수 있고, 또한 문장부호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