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개념정리
용어정리
한글생각
한글 글자체 자료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출력하고 봐야 할 것 4. 글자 균형
이용제 2022.05.11
글자를 그리고 출력해서 확인해야 할 것이 많죠. 오늘은 활자디자인에서 ‘비례’만큼 자주 나오고, 기본으로 갖춰야 하는 ‘균형’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균형의 뜻은 물체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않고 좌우의 무게가 고
출력하고 봐야 할 것 3. 글자 비례
이용제 2022.05.10
활자디자인에서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가, 글자의 비례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미 말씀드린 획 굵기를 일정하게 맞추는 일이나, 글자 크기를 맞추는 일도 계속 다듬어야 하기에 모두 힘이 듭니다. 그런데 글자의 비례를 맞추는 일은 그와 달리 조금 복잡해서 어렵게 느껴집니다.
출력하고 봐야 할 것 2. 글자 크기
이용제 2022.05.05
지난 글에서, 그린 글자를 출력하고 봐야 하는 것 중 첫 번째로 획 굵기가 일정한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획의 구성이 서로 다른 글자를 그려봐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예시 글자를 보여드렸습니다. 누누이 말씀드리지만, 획 굵기는 작업에서 손을
출력하고 봐야 할 것 1. 획 굵기
이용제 2022.05.03
지난번에 활자디자인을 할 때 반드시 미리보기 창을 띄워 놓고 작업하고, 수시로 사용할 글자 크기로 출력해 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사용하는 출력기의 해상도도 신경 써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 출력을 하고선 무엇을 해야할까요. 보통 많은 사람이 출력을 하고
필독 2! 실제 사용할 글자 크기로 출력하기
이용제 2022.04.28
지난 시간에 활자를 그릴 때는 반드시 미리보기 창에 글자를 실제 크기로 띄워 놓고, 보면서 작업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만약 글자를 사용할 크기보다 크게 보면서 그리면, 글자를 작게 했을 때, 글자 크기가 고르지 않게 된다는 뜻이었습니다. 가끔 디지털 이전의 시기
필독 1! 활자를 그릴 때는 실제 크기로 보기
이용제 2022.04.26
한글 활자디자인을 하면서 힘든 이유를 말하라고 하면, 첫 번째로 그려야 하는 글자 수가 많다는 것을 꼽을 것 같습니다. 이건 정말 어쩔 수 없는 일이지요. 이러한 어려움은 한글이나 한자처럼 많은 글자 수를 가진 문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숙명이라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이제 앞만 보고 전진합니다
이용제 2022.04.21
컴퓨터로 글자를 그리기 시작했으니, 어려운 관문 하나를 넘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제 처음 활자를 그리는 많은 사람이 작업을 포기하는 단계에 들어선 것입니다. 아직 획 하나 마음에 들게 그리지 못하는데, 그려야 할 글자 수는 수 천자나 되는 것을 보면, 예상되
컴퓨터로 글자 그릴 때 주의사항
이용제 2022.04.19
컴퓨터로 처음 글자를 그리는 사람에게서 자주 보는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도형 그리기 툴로 글자를 그린다는 점입니다. 패스 그리기 툴을 사용해 본 적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자신이 스케치한 글자를 따라 그리는 것을 어려워 합니다. 그래
스케치에서 최종 시안으로.
이용제 2022.04.14
활자를 처음 그리는 사람이나 아직 디자인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스케치한 것이 그대로 결과물로 나올 것으로 생각하는 모습을 자주 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스케치는 이제 머릿속 막연한 생각을 흐릿한 모습으로 그려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옳습니다. 곧 이제 막 생각을 시각화한
가이드라인 치우기
이용제 2022.04.12
글자틀 안에 놓아야 할, 글자 크기를 대략 정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글자를 그립니다. 스케치한 글자를 옮긴 뒤에는 새로운 글자를 기존에 스케치했던 글자와 비슷하게 그려야 합니다. 스케치할 때에는 그나마 자유롭게 그리지만, 글자를 파생하면서는 모든 글자를 비슷한 크기
글자틀 안에 얼마만 한 크기로 글자를 놓아야 하나요?
이용제 2022.04.06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어렵고 중요한 일입니다. 오래전, 납활자나 사진활자 때만 해도 글자를 그려 넣는 물리적인 경계가 있었습니다. 이를 글자틀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디지털 환경에서는 글자틀을 넘어서 글자를 그려도 되는 경우가 있다 보니, 글자틀이라는 경계의 역할과
글자가 안 보여요?!
이용제 2022.04.04
일러스트레이터에서 그린 글자를 글립스나 폰트랩으로 가져오는 일은 간단합니다. 복사, 붙여넣기! 그런데 일러스트레이터에서 가져온 글자가 안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에서 글자를 그릴 때 보통 A4 크기의 공간에 그리는데, 이때 한 지면에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