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한글 글자체 소개
활자생각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용어정리
개념정리
한글생각
활자연구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한글 제자 원리
이용제 2021.12.19
[오행] 하늘과 땅, 자연이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다섯 원소의 생성·변화·소멸로 이루어져 있다는 동양의 철학. 한글 자음글자(닿자)는 오행에 맞춰서 제자됐다.
Black Letter, Script, Graphic: 활자체 분류의 특수성
이용제 2021.12.14
복스의 활자체 분류에는 모호함이 있다. 그중 하나가 Black Letter(블랙레터)와 Script(스크립트)다. 블랙레터와 스크립트는 휴머니스트(Humanist)처럼 글씨를 활자로 만든 것이다. 곧 휴머니스트 양식의 특징을 글씨라고 정의한다면 블랙레터와 스크립트 모두 휴머니스트 양식에
[Sans serif](산세리프): 선형적(Lineal)
이용제 2021.12.06
알파벳 글자체 중에서 세리프와 가로세로 획 대비가 없는 산세리프 글자체는 1816년 윌리엄 캐슬론 활자 주조소의 활자견본에 처음 등장한다. 그리고 1896년 그로테스크라는 이름의 글자체가 나온 뒤, 서양에서 산세리프 글자체가 널리 퍼졌다. 이후 과거의 글자체에서 구조만 남기고 표현을 삭
Baskerville, Didot, Bodoni, Rockwell 비교
이용제 2021.11.30
[Transitional](과도기적) 프랑스의 루이 14세를 위해 필립 그랑장(Philippe Grandjean)이 디자인한 왕의 로만(Romain du Roi)(1692~1745)을 바탕으로 만든 글자체 양식을 말한다. 왕의 로만은 필법(서법)의 원리를 따르지 않고
Centaur, Garamond, Trajan 비교
이용제 2021.11.23
[Humanist](휴머니스트) 복스의 글자체 분류에서 Humanist는 중세 남부 유럽의 글씨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글자체로, Garald, Glyphic 양식의 글자체와 같은 구조다.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대문자 BP처럼 2단으로 나눠진 글자는 DO처럼 1단으
복스의 알파벳 글자체 분류
이용제 2021.11.16
막시밀리엉 복스(Maximilien Vox, 1894∼1974) 글자체는 주로 형태와 쓰임으로 구분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시대나 지역에서 널리 쓰인 글자체, 특정한 방법으로 제작한 글자체 등 쉽게 조형 특징을 구별할 수 있는
글자체 분류
이용제 2021.11.09
글자체 분류는 수많은 글자체 중에서 조형 질서(구조와 표현)가 같은 글자체를 묶는 일이다. 디지털 환경 이전에는 독자가 자신이 원하는 글자체를 골라서 읽는 것이 아닌, 이미 정해진 글자체가 인쇄된 책이나 신문 등을 읽었다. 따라서 그 글자체가 어떠한 조형 질서를 가진
명조체(明朝體)는 명조체가 아니다. 송체(宋體)다.
이용제 2021.11.02
[송체](宋體) 우리가 흔히 ‘명조체(명체)’라 알고 있는 가로획이 가늘고 세로획이 두꺼운 글자체는 송나라 때 책에 널리 쓰인 글자체다. 곧 송체(송조체 宋朝體)다. 당나라 때부터 정부의 표준 글자체로 쓴 해서체와 같이 무게중심이 가운데 있는 송체는 정방형의 가지런한 크기로 인
한자의 [오체](五體)
이용제 2021.10.26
전예해행초(篆隸楷行草). [전서](篆書) 한자 생성 초기의 글자체. 상형문자(象形文字)로서 한자의 특질이 잘 나타나는 글자체로 거북이나 짐승의 뼈에 새긴 갑골문(甲骨文)과 그릇 등의 금속에 새겨진 금문(金文) 등이 대표적이다. 넓은 의미로는 고대
고딕체 (Gothic Font)
이용제 2021.10.12
컴퓨터 보급 이후 종이 매체는 화면을 가진 디지털 매체로 빠르게 대체되었다. 동시에 종이에 글자를 인쇄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한글)명조체는 (한글)고딕체에 그 자리를 내주었다. 종이 매체에 인쇄해서 쓸 때는 장점이던 명조체의 가는 가로획과 부리 맺음 등의
명조체(明朝體)
이용제 2021.10.07
명조체(明朝體), 이름과 형태의 오류 그리고 끊이지 않는 혼란 컴퓨터에서 한글 폰트를 쓰려고 골라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명조체’를 보았을 것이고, 한 번쯤은 써봤을 것이다. 그러나 한자 명조체와 한글 명조체는 다른 형태이다. 그뿐만 아니라 명조체와 관련된 많은 이름과
한글 글자체 양식 계통도
이용제 2021.10.04
한글 글자체는 필서체와 인서체 양식, 또 해서체와 서간체 양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양식의 특징이 섞여 새로운 양식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구분된 20여 가지의 글자체 양식을 “한글 글자체 양식 ➊~➏”에 소개했다. 그러나 한글 글자체를 대상으로 양식을 규정하는 노력이 아직 많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