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용어정리
한글생각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한글 글자체 소개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활자생각
활자연구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지자체 폰트 개발의 문제점
이용제 2023.05.10
2015년 여름, 서울서체 개발을 시작으로 발생한 지자체 폰트 개발의 문제점에 대해서 발표하려고 했던 글입니다. 당시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한글위원회 이름으로 발표하려고 몇몇 선생님의 의견을 모아서 정리했던 글인데, 실제 발표했는지 기억나지 않습니다. (다시 찾아봐도 발표한 기록을 찾지
서울시 서체에 대한 기대와 걱정
이용제 2023.05.09
10년 전쯤 유럽을 여행하면서 디자이너로서 가장 부러웠던 것은 조형적 완성도가 높은 글꼴을 갖고 만든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이었고, 서울도 서울을 대표할 만한 글꼴과 그 글꼴을 체계적으로 운용할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갖춘다면 지금의 모습과 많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예쁜 글자체와 조화로운 타이포그래피
이용제 2023.03.17
세상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예쁜(잘 그린) 글자체가 있습니다. 만드는 사람은 모두 잘 그리려고 하지만, 실제로 잘 그린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사용자의 안목이 빛을 발하는 순간입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없이 많은 활자체 중에서, 새롭거나 잘 만들
⟪훈민정음⟫ 한자에서 시작한 [초해]
이용제 2023.03.04
창제 이후, 중요한 변화가 보이는 한글 글자체를 모아서 하나의 표로 나열해 보면, 한순간 빠르게 변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는 시간과 공간을 한 지면에서 보기 때문에 일어나는 착시일 뿐, 글자체에 변화가 나타나는데 까지는 보통 10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곤 합니다
후덕한 우아함이 있는 ⟪훈민정음⟫ 한자
이용제 2023.03.02
유네스코는 세계 각국의 기록유산을 보존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서, 1992년부터 ‘세계의 기억(Memory of the World: MOW)’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훈민정음⟫(책)은 ⟪조선왕조실록⟫과 함께 1997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훈민정음⟫
한 가지 흐름이 있었고, 두 가지 전망이 있다. ④
이용제 2023.02.28
04. 미래 몇 해 전 제주에 집을 짓고, 직접 화분과 땅에 나무를 심어봤다. 처음에는 마당이 정리되지 않아서 나무를 화분에 심어 놓았고, 나의 게으름으로 인해 그대로 놔두었다. 심는 일도 어렵지 않고, 화분을 이리저리 옮기면서 사진을 찍었다. 움직일 수 있다는 장점
한 가지 흐름이 있었고, 두 가지 전망이 있다. ③
이용제 2023.02.25
03. 현재 최근 이 땅 안에서 만들어지는 타이포그래피를 보면, 우리가 놀라운 디자인 능력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단적인 예로, 한국의 그래픽디자인이 외국에 알려지기 시작했던 때는 20년 전쯤인, 2000년 전후로, 그 중심에 안상수 선생님이 있었다. 그 뒤 많은 디자
한 가지 흐름이 있었고, 두 가지 전망이 있다. ②
이용제 2023.02.22
02. 과거 우리나라에서 서구의 근대식 타이포그래피는 1883년 박문국이 설치되면서 시작됐다. 박문국은 불안정한 정치 상황으로 폐지됐다가 다시 여는 등의 부침을 겪으며 결국 1888년 폐지됐다. 기술과 기계 그리고 활자는 일본에서 들여온 것이다. 이곳에서 사용한 한글
한 가지 흐름이 있었고, 두 가지 전망이 있다. ①
이용제 2023.02.21
월간 문학사상에서 ‘국내 타이포그래피의 흐름과 전망’에 관한 글을 요청했습니다. 쓰고 있는 초고를 4회로 나눠서 올리겠습니다. 01. 배경 인류 시각문화의 중심에는 그림과 문자가 있다. 그림과 글자가 같은 행위에서 출발한 것이나, 지금은 그림과 문
리—부트
이용제 2023.02.19
저는 이전에는 있었지만 더는 쓸 수 없는 한글 글자체와 당연히 있어야 할 글자체가 모두 온전하게 갖춰지도록 하는 것이 꿈입니다. 그래서 최근 몇 년 동안 저는 끊어졌던 글씨와 활자의 관계를 잇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글씨를 바탕으로 활자를 만들고 있고, ’표준’을
활자번역 프로젝트
이용제 2023.02.15
한글 글자체 연구 중에 자주 언급되는 주제가 “한글 글자체 분류”입니다. 많은 사람이 한글 글자체 분류가 모호하니, 라틴 폰트 분류 체계인 ‘복스 분류법’과 같은 분류를 해야 하지 않느냐는 이야기를 합니다. 일리 있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지금 한글 글자체는 복스와
활자 연구
이용제 2023.02.14
한글디자인을 공부하려고 책을 찾으면, 관련 책이 몇 권 없음을 금방 압니다. 제가 20년 전쯤 한글 활자디자인을 주제로 논문을 썼을 때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학생이 저에게 왜 한글디자인을 연구하는 사람이 없냐고 물으면, “돈이 되지 않으니, 안 한다.”고 대답합니다.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