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이용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검색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읽기』
소개
구독
이용안내
로그인
타이포그래피 이야기
한글 글자체 소개
활자생각
활자를 디자인할 때 알아야 하는 것
용어정리
개념정리
한글생각
활자연구
펼치기/접기
받은글
전체글
공개글
많이본글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④
이용제 2023.04.29
글자꼴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일은 앞으로 새로운 활자를 디자인하거나 현재 있는 활자를 리-디자인할 때, 적합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도록 도울 것이다. 그 한 예로써 앞으로 개발할 본문용 글자꼴은 운필이 남아 있는 글자꼴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다.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③
이용제 2023.04.29
세로쓰기 시대의 글자꼴 중에서 운필의 영향을 받으며 정형화된 글자꼴은 훗날 명조체의 뿌리가 되는데, 이 글자꼴은 글자의 무게중심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글자의 오른쪽이 올라갔다. 그리고 필기의 이동거리가 짧아지면서 긴 직사각형의 장체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과 한글 글자꼴의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②
이용제 2023.04.29
한글 글자꼴은 1446년 발표된 뒤 현재까지 <정제된 형태>에서 <손글씨의 자유로운 형태>로 그리고 다시 <손글씨의 정형화>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가)기하학적인 형태에 도구의 영향 반영된 결과이고, (나)동일동형의 공간 활용에서 글자의 줄기 수에 따라
문장방향과 한글 글자꼴의 관계 ①
이용제 2023.04.29
차례 1. 시작하며 1.1. 쓴 목적 1.2. 선행연구 1.3. 논의 대상 2. 한글 글자꼴의 특징을 논의하기 위한 틀 3. 문장방향과 글자꼴 3.1. 세로쓰기 시대 글자꼴의 특징
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③
이용제 2023.04.20
한글 문장부호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 맞춰 모양과 용법을 통일해야 하고, 이때 문장부호의 모양, 크기, 위치는 한글 조형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②
이용제 2023.04.20
우리나라는 서양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서양 중심으로 보편화되었다.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한글을 알파벳처럼 풀어쓰자는 주장했고, 한글 문장부호는 풀어쓴 한글에 맞춰서 서양의 문장부호를 가져다 쓰게 되었다. 따라서 한글 문장부호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의 모양을 통일할 수 있고, 또한 문장부호
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①
이용제 2023.04.20
동양과 서양의 타이포그라피에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글자가 다르다고 글자를 쓰는 도구가 달랐던 것이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글자의 구조적 차이는 글자의 복잡도와 외곽형태의 등에 차이로 나타나며, 글자의 면적이 달라진다. 그리고 글자를 표현하는 도구의 특성 차이는 글자 형태와 표정에 차
잉크를 아끼는 글자
이용제 2023.04.15
2009년 가을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첫 학술대회와 글짜씨에 발표한 글입니다. 잉크를 아끼는 글자는 환경에 대한 디자이너의 책임을 고민하게 된 뒤에, 활자디자이너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시도한 결과입니다. 비록 상용화하지 못했으나, 한 활자디자이너 철학을 세우는 과정을 담았습니다.
한글 타이포그라피 교육의 공유와 연대 제안 ④
이용제 2023.04.09
가독성은 판독성과 이독성을 아우르는 말로 쓸 수 있고 전통적 의미에서 가독성은 글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읽느냐의 문제였다. 그러나 공간에 구성된 이미지와 텍스트에서 가독성은 속도와 정확도만의 문제가 아닌 더 포괄적인 의미가 있다.
한글 타이포그라피 교육의 공유와 연대 제안 ③
이용제 2023.04.09
‘한글 활자디자인’ 두 축인 네모꼴과 탈네모꼴 활자디자인을 훈련하고, 무엇이 ‘필요한 활자’인지 깨닫는 것이 교육의 중심이다. 활자에서 판독성은 이독성이나 넓게는 가독성 이전의 문제이고, 가장 기본적으로 충족해야 하는 요건이다. 분별이 쉽지 않은 활자는 글자의 기능을 충분히 해낼 수 없
한글 타이포그라피 교육의 공유와 연대 제안 ②
이용제 2023.04.09
1—시작 교육자는 타인에게 받은 지식과 경험(긍정하거나 부정하거나)에 자신이 쌓은 경험을 더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만든다. 타이포그래피는, 소극적으로 해석하면, 활자(글자)를 다루는 단순한 기술이고, 적극적으로 그 행동에 개입한다면, 인문・사회・환경에 대한
한글 타이포그라피 교육의 공유와 연대 제안 ①
이용제 2023.04.09
교육은 경험에 기초한다. 곧 교육자는 타인에게 받은 교육(지식과 경험)에 자기 경험(지식)을 더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만든다. 한글 타이포그래피는 <한글-활자>를 <배열>하면서 <공간을 구성>하는 <운용>의 과정 전체를 가리킨다. 따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
활자공간
type-space.com
마켓히읗
markethiut.com
한글타이포그라피학교
typo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