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한글생각

한글과 한국어

한글에 관한 대화를 하다 보면, 알 수 없는 혼란이 생깁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 ‘한글과 한국어’, ‘문자(한글) 구조와 조형(글자체)’의 차이를 구분하지 않아 생깁니다. 우리가 ‘한글’을 말할 때 1443년 창제한 ‘훈민정음(한글)’을 말하는 것인지 한글 창제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존재하던 ‘한국어’를 말하는 것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한국어와 한글을 혼동할 이유가 전혀 없을 것 같지만, 한국어와 ‘한국어를 적는 글자’ 한글의 관계가 너무나 밀접해서인지 이 둘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한글 연구에서도 한국어(음성)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한글(글자)을 부가적인 요소로 다루기도 합니다. 옛 한글에 관한 연구도 각 지역에서 어떻게 다르게 소리를 냈는지, 언제부터 네 글자(ㅿㆁㆆㆍ)가 사라졌는지 등을 규명할 뿐, 글자 모양에 관한 연구는 드뭅니다. 한글날에도 대부분 바르고 고운말 쓰기와 글짓기 행사를 합니다. 손글씨가 유행하면서 몇 해 전부터 열린 예쁜 손글씨를 뽐내는 행사가 그나마 한글 조형과 관련된 행사입니다. 방송에서도 한국말 잘하는 외국인이 나와서 유창하게 한국어를 하는 프로그램과 한글 파괴라면서 신조어(은어)를 다루는 프로그램, 외래어와 외국어 표기 등을 바로잡는 프로그램 등을 내보냅니다. 저에게는 모두 한국어에 관한 프로그램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모호함은 ‘쓰기’라는 말에서도 나타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 교육은 바르게 글씨를 쓰는 학습이고, 고학년은 글짓기 학습입니다. 이러한 일들이 한국어와 한글 구분을 어렵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한글 구조와 조형의 관계 역시 자주 뒤섞입니다. 1446년 반포한 《훈민정음》(해례본)(책)에는 한글의 구조(시스템, 체계)가 설명되어 있고, 그 구조를 시각화한 기호(글자)가 있습니다. 이 기호의 생김새(글자체)를 놓고 ‘창제 초기체’라고 부릅니다. 분명히 특정한 생김새를 가진 기호인데, 기호와 생김새가 한 몸이다 보니 대부분의 사람은 이 둘을 구분짓지 않는 듯합니다. 그래서 어떤 생김새의 ‘한글’을 보든 문자로서의 한글(기호)이라고 생각하여, “왜 한글을 쓰는 데 돈을 내야 하느냐”고 말합니다. 세종임금님은 한글 글자 구조와 기호를 만드셨지, 지금 시대의 사회 문화 기술에 맞춘 글자체(조형)를 그리시진 않았는데 말입니다.
이처럼 일상에서 한글과 한국어, 글자 구조와 조형을 구분하지 않은채 말(생각)해서 여러 혼란이 생깁니다. 지금이라도 이 둘을 구분해서 생각하고 말해야만, 한글과 글자체가, 글자와 조형으로서 온전하게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 다음에야 비로소 한글 시각 문화도 건강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주)활자공간 최주영 105-87-35047 통신판매업번호: 제2011-서울마포-0650호 글 관리자: 이용제
leeyongje@type-space.com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76-44 시연빌딩 2층
copyright © 2021 (주)활자공간 all rights reserved